2025. 7. 16. 08:11ㆍ건강과 영양
우리는 모두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막연히 알고 있던 '상식'들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노화와 장수에 관한 대표적인 오해들을 짚어보며, 건강한 노년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진짜 정보’를 전해드립니다.
1. "공복은 누구나 길게 가지는 게 좋다?"
❌ 공복 상태가 건강에 좋다는 이야기는 간헐적 단식 열풍과 함께 널리 퍼졌습니다. 그러나 무조건 공복 시간을 늘리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지 않습니다. 특히 노년층이나 당뇨병 환자에게 긴 공복은 오히려 저혈당이나 근육 손실을 유발할 수 있어 위험합니다.
▶ 특히 노인은 단백질과 에너지 섭취가 중요하므로 일정한 식사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에 더 이롭습니다.
2. "스트레스는 무조건 건강에 나쁘다?"
❌ 스트레스가 건강의 적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죠? 물론 만성적인 스트레스는 면역력 저하, 심혈관 질환, 우울증 등의 원인이 됩니다. 하지만 모든 스트레스가 나쁜 것은 아닙니다.
▶ 적당한 스트레스는 뇌 기능을 활성화하고, 삶에 활력을 주는 긍정적 자극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유스트레스(eustress)'**라고 하며,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건 스트레스를 피하기보다는, 건강하게 해소하는 방법을 아는 것! 걷기, 명상, 취미 활동 등이 도움이 됩니다.
3. "노년기엔 흰쌀밥보다 잡곡밥이 더 좋다?"
❌ 잡곡밥이 건강식이라는 건 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러나 노년기에는 이야기가 조금 다릅니다.
▶ 잡곡은 섬유질이 많아 소화가 느리고 위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치아나 소화기관이 약해진 노년층에게는 오히려 소화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잡곡 중 일부는 식이섬유가 지나치게 많아 약물 흡수나 영양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노년기에는 흰쌀과 잡곡을 적절히 섞어 먹는 것이 좋습니다.
4. "노인은 고기보다 콩, 견과류 같은 식물성 단백질을 먹어야 한다?"
❌ 많은 분들이 노인은 소화가 약하니 고기보다는 식물성 단백질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는 절반의 진실입니다.
▶ 노인에게는 양질의 단백질, 특히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매우 중요합니다. 노년기에는 근육 감소증을 예방하고 면역력을 유지하기 위해 고기, 생선, 달걀, 유제품 등의 섭취가 필요합니다. 물론 콩이나 견과류도 좋은 단백질원이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는 사실! 단, 고기 섭취 시에는 기름기 없는 부위나 조리 방법에 유의해 위장 부담을 줄여야 합니다.
지금까지의 '상식', 혹시 당신도 믿고 있지 않으셨나요? 위에서 소개한 4가지 내용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랫동안 잘못 알고 있던 노화와 건강 상식입니다. 이처럼 건강한 장수를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인터넷에 떠도는 정보나 지인의 말보다는 전문가의 조언이나 최신 의학 정보에 귀 기울이는 습관을 가져보세요.
<건강하게 오래 사는 방법> 공복시간의 개인의 상태에 따라 조절해야 하며, 노인은 너무 긴 공복은 피한다. 스트레스는 무조건 나쁜게 아니다. 건강한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 잡곡밥은 무조건 좋은 게 아니다. 소화능력에 맞게 섞어 먹자. 단백질 섭취는 동물성과 식물성을 균혀있게. 고기도 꼭 필요하다! |
건강한 노화를 위한 첫걸음은 '잘못된 상식을 버리는 것'입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익숙하게 믿어왔던 정보가 오히려 건강을 해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노화는 피할 수 없지만, 지혜롭게 준비하고 실천하면 '건강한 노후'는 충분히 가능합니다. 오늘부터라도 자신만의 건강 정보 점검 리스트를 만들어보는 건 어떨까요?
'건강과 영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 수명을 길게하는 [저속노화 루틴 6단계] (0) | 2025.07.23 |
---|---|
장누수증후군, 혹시 나도? (1) | 2025.07.18 |
[수용성 식이섬유 vs 불용성 식이섬유] 식이섬유의 종류와 역할 (0) | 2025.06.02 |
생리를 보면 자궁의 건강이 보인다? (0) | 2025.04.17 |
균형있는 건강한 삶의 시작, [두량족난복팔분 頭量足難難服八分]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