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어트와 근육,운동(23)
-
나이들수록 중요해지는 이것 [코어 근육 강화법의 필요성과 운동의 종류]
연구에 따르면 30세 이후부터는 10년에 많게는 근육량의 3~5%씩 소실됩니다. 코어근육이란, 우리 몸의 중심을 잡아주는 척추를 받쳐주는 복부. 엉덩이. 허벅지. 골반 등의 근육을 의미합니다. 오늘은 코어근육강화 운동이 필요한 이유와 운동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코어근육 운동의 필요성 첫째, 허벅지.복부.골반.척추 및 엉덩이 등에 근육량이 많기 때문에, 이곳에 근감소가 나타나면 활기가 크게 떨어지고 일상활동도 줄어들게 됩니다. 둘째, 코어근육강화는 모든 육체적 활동을 하는데 큰 도움이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코어가 발달한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자세가 안정돼 운동 중 다칠 가능성이 그만큼 줄어듭니다. 셋째, 근육발달로 일상 생활 중에 태우는 칼로리도 늘어날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 건..
2024.01.18 -
아침 공복에 운동하는 것은 과연 효과가 있을까요?
운동을 할 때 OO을 빠트리면 위험하다? 건강한 생활을 위해 누구나가 운동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잘 알지만 운동을 할 때 '이 것'의 보충 없는 운동은 노화가 빨라지게 만들고 때론 오래 살려고 운동하다가 더 일찍 사망하는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 운동을 많이 하는 사람들은 활성산소가 많이 나옵니다. 활성산소는 앉아서 이야기만 하고 있어도, 걷기만 해도 생기는 것이 활성산소입니다. 특히 파워워킹이나 수영등을 할 때 많이 발생하는 데 평소의 활동보다 다섯 배나 많은 활성산소가 만들어집니다. 세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조깅 기준으로 활성산소가 네 배, 파워 워킹은 세 배, 산보 정도로 가볍게 걸을 때는 한 두 배 정도 됩니다. 이러하듯 활성산소는 피해갈 수 없습니다. 또한 우리 몸에 활성산소가 발생하는 것이 나쁜 점..
2024.01.02 -
인체에 쌓이는 지방의 종류 : 체지방, 피하지방, 내장지방, 중성지방
겨울엔 움직임도 적고, 생태계의 원리에 따라 쉽게 지방이 저장되는 계절입니다. 그런데 이 지방들은 이름이 다양해서 나에게 쌓인 지방이 체지방인지 내장지방인지 중성지방인지 구분이 안될 때가 많은데요, 오늘은 이 다양한 지방을 정의하고 지방들을 제대로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1. 체지방 신체에 쌓이는 모든 지방을 체지방이라 칭합니다. 체지방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 그리고 중성지방 등이 속합니다. 섭취한 영양분 중에서 에너지로 쓰고 남은 영양분이 체내에 축적되면 몸속에 지방의 형태로 쌓이게 되는데 이것을 체지방이라고 합니다. 보통 남성의 체지방률은 15~20%, 여성의 체지방률은 20~25%정도입니다. 체지방의 역할은 에너지의 저장고이고 내장을 보호하며, 체온을 조절하는 등 건강에 좋은 역할을..
2023.12.11 -
[리포단백질]이란? 남자와 여자가 살찌는 부분이 다른 이유
어느 날 다이어트를 결심한 한 남자와 여자가 식사를 마치고 거울 앞에 서서 비교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는데 서로 이렇게 말합니다. "우리 왜 살이 찐 부분이 다른 거지?" 남녀가 살찌는 부위가 다른 이유는 지방이 몸에 붙은 부위가 성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지방 분해 및 저장에 관여하는 효소, 리포단백질 지방 분해 및 저장에 관여하는 효소인 리포단백질 리파아제 때문입니다. 이 효소는 지방 조직 내에서 지방산을 분해하여 에너지로 사용하거나 다른 대사 과정에 이용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리포단백질은 지방 조직 내에서 특별한 작용을 수행하여 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에너지 생성에 기여합니다. 리포 단배질은 지방 세포의 미세 구조 내에서 작용하며, 지방산과 글리세롤을 분해하는 데 관여합니다. 이러한 과..
2023.12.01 -
한국인의 칼슘섭취 상태, 칼슘의 중요성과 섭취 방법
1. 한국인의 칼슘 섭취 상태 영양 과잉 시대라는 말이 무색하게 한국인의 칼슘 영양 상태는 부족한 상황입니다. 2020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한국인의 10명 중 7명에게서 칼슘 부족이 나타났고, '식사를 통한 칼슘 섭취' 또한 매우 부족한 상태로 밝혀졌습니다. 뼈와 치아의 구성요소이자, 근육과 신경 기능을 조절하는 인체를 구성하는 핵심 영양소, 칼슘!! 인스턴트식품과 자극적인 음식들의 유행으로 점점 더 부족해지고 있는 칼슘 섭취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때입니다. 한국인에게나 특히 부족한 영양소는 칼슘입니다. 한국 성인 기준 칼슘 섭취량은 하루 700~800mg, 성장기 아동과 청소년은 남자 700~1,000mg, 여자 700~900mg, 임신부와 수유부, 골다공증이 있거나 폐경 전. 후에는 1,000..
2023.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