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86)
-
다이어트,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인지기능을 회복하는 [고강도 인터벌 운동(HIIT)의 과학적 근거]
실내 자전거나 여러 가지 운동 등을 45초 하고 15초 쉬고, 고강도로 힘들게 운동한 다음 15초 쉬고 이런 식으로 운동하는 것이 고강도 인터벌입니다. 최대 심박수가 무려 90프로의 강도까지 높여 쉼을 반복하면서 총 20분이 안 되는 시간으로 아주 짧은 시간에 운동효과를 최대 높이는 것이 HIIT입니다. 이 글에서는 현대인들의 건강에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다이어트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인지기능 측면에서 고강도인터벌 운동이 어떤 효과가 있는지 그 과학적 근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다이어트와 HIIT 🔹지방은 줄이고 근육은 늘리고 운동하는 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근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다이어트 효과도 나타낼 수 있습니다. 🔹애프터 번 효과로 요요를 방지 운동을 마친 뒤 쉬고 있는 중에도 ..
2024.04.08 -
애프터번 효과(과잉산소 소비 후의 산소 소비, EPOC)란?
"애프터번 효과(Afterburn Effect)"는 운동 후에도 몸이 추가적인 칼로리를 계속 소모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정확한 용어로는 '과잉 산소 소비 후의 산소 소비(EPOC, Excess Post-exercise Oxygen Consumption)'입니다. 이 현상은 특히 고강도의 운동을 한 후에 더욱 두드러지며, 운동이 끝난 후에도 몸이 회복 과정에서 계속 에너지를 소모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운동 중에 몸은 ATP(아데노신 삼인산)라는 분자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고강도 운동을 할 때는 몸이 필요로 하는 ATP를 산소를 사용하여 만들어내는 '호흡 작용 대사'로 충분히 공급할 수 없기 때문에, 무산소 대사 과정을 통해 ATP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는 젖산(lactic acid)이 부산물로 ..
2024.04.04 -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의 차이, 관리방법, 합병증
제1형 당뇨병과 제2형 당뇨병은 당뇨병의 가장 흔한 두 가지 유형입니다. 두 질환 모두 혈당 조절에 문제를 일으키지만, 발생 원인과 관리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1. 제1형 당뇨와 제2형 당뇨의 발생 원인과 관리 방법 제1형 당뇨병(일형 당뇨)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면역 체계가 실수로 췌장의 인슐린을 생산하는 베타 세포를 공격하여 파괴합니다. 이로 인해 췌장에서 인슐린을 거의 또는 전혀 생산하지 못하게 되며, 인슐린은 혈당을 세포 안으로 옮겨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호르몬입니다. 제1형 당뇨병은 주로 어린이, 청소년, 젊은 성인에게 발생하지만 어떤 나이에서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제1형 당뇨병 환자는 매일 인슐린을 주입하거나 인슐린 펌프를 사용하여 인슐린을 체내에 공급해야 합니다. 제2형..
2024.04.03 -
쉼의 필요성과 쉼의 방법 | 꾸준함의 비결은 [휴식]입니다
왜 우리는 열심히 달릴 때만 잘하고 있다고 생각할까? 잠시 멈춰서 쉬거나 컨디션이 좋지 않으면 큰 문제가 생긴 것처럼 스스로를 한심하게 여기고 포기라는 단어를 쉽게 입에 담는다. 그리고 빨리 회복해야 한다며 자신을 재촉한다. 1. 쉼의 필요성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다들 쉬지 않고 열심히 노력하고 끊임없이 도전하고 좌절해도 일어나고 어려움을 극복해냈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열심히 일해야 한다는 압박감에 우리는 늘 쉬면서 늘 죄책감을 느낀다. 아직은 괜찮다고 생각해 오랫동안 휴식을 취하지 않으면 성장할 수 없다. 틈틈이 쉬는 시간을 즐겨야 나를 무너뜨릴 정도로 큰 파도가 오지 않는다. 지금 우울하고 무기력하고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다면 내가 무능해서 그런 게 아니라 너무 열심히 달리다 보니 그동..
2024.03.29 -
면역세포 백혈구의 종류와 특징
백혈구는 우리 몸의 주요 면역세포로, 감염과 염증의 처리, 병원체와 이물질의 제거, 면역반응의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주요 백혈구의 종류와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호중구(Granulocytes) 🔸호구(Macrophages) : 세포와 이물질을 먹어 소화하고 면역응답을 조절합니다. 🔸호염구(Eosinophils) : 알레르기 반응과 기생충 감염에 대응하며 염증 조절에 참여합니다. 🔸호구(Neutrophils) : 세포 외부의 원체를 파괴하는 역할을 하며 감염 대응에 중요합니다. 2. 림프구(Lymphocytes) 🔸T 세포(T cells) : 감염된 세포를 탐지하고 파괴하는 역할을 합니다. 🔸B 세포(B cells) : 항체를 생성하여 병원체를 식별하고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NK ..
2024.03.25 -
동안과 노안을 구분 짓는 콜라겐 감소 [피부 노화와 콜라겐의 관계]
우리 얼굴이 동안이다, 노안이다라고 결정짓는 요인은 주름 하나가 더 있거나 색소와 기미같은 것들이 더 있다고 동안과 노안을 구분짓지 않습니다. 결국 동안과 노안을 구분짓는 것은 얼굴 윤곽의 형태입니다. 윤곽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은 바로 콜라겐의 감소, 즉 탄력저하인데 어렸을 때는 브이라인이다가 나이가 들면 턱선이 콜라겐 감소로 탄력이 떨어지면서 위 쪽부터 쳐지기 시작해 턱선이 울퉁불퉁해지고 심지어 이중턱이 생기는 등 턱라인이 무너지면서 얼굴 전체의 윤곽이 넙적해지는 것입니다. 이러하듯 피부 노화는 다양한 내외부 요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그 중 콜라겐의 감소는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콜라겐은 피부의 주요 단백질로, 피부의 탄력과 구조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피부 노화와 콜라겐 감소의 상관관계를..
2024.03.23